전설과 풍경이 함께 공존하는 곳~ 청송 주왕산의 여름~!

2012. 9. 3. 08:03여행 이야기

 

 

 

드디어 주왕산의 아침이 밝아오고 있었다.

다행히 날이 밝아오면서 새벽녘부터 줄기차게 쏟아지던 비는 그쳐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하늘을 가득 뒤덮고 있는 먹구름을 바라보며

다시 비가 쏟아지기 전에 서둘러 돌아보자며 발길을 재촉했다.

 

 

 

주왕산은 그 풍경의 수려함 만큼이나 전설이 많은 곳으로도 유명하다고 한다.

원래 이름은 기암괴석으로 병풍을 친것과 같다고 해서 석병산으로 불리웠는데

중국 당나라 시대에 반란을 일으켰던 주왕이 패하여 이곳으로 숨어 든 후에

주왕산이라 불리웠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혹은 신라시대 태종무열왕의 6대손이었던 김주원이 왕위 계승에서 밀려난 후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이곳으로 피신해 지냈다고 해서 주방산으로 불리우다가

고려 말 승려 나옹화상이 이곳에서 수도하면서 이 고장이 번성하길 바라며

주왕산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어쨌거나 기암괴석이 즐비한 주왕산의 수려한 산세가 그 모든 전설을 탄생케 했을 것이다.

 

 

 

주왕산 입구의 사찰, 대전사~

주왕산을 병풍 삼아 자리잡은 아담한 사찰이었다.

 

 

 

 

주왕산의 상징과도 같은 기암(旗岩)~

주왕산을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풍경이다.

옛날 이곳에 은거하던 주왕이 마장군이 이끄는 토벌군의 눈을 속이기 위해 볏집을 둘러

군량미를 쌓아 둔 것처럼 위장했다는 설도 있고, 마장군이 이곳을 점령했을 때

대장기를 세웠다고 해서 기암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마장군은 주왕을 토벌한 신라의 장군이었다고 한다.

 

 

 

주왕산의 입구에서 만나는 또 다른 봉우리, 장군봉~

기암의 좌측에 자리잡고 있는데, 그 이름에 관한 유래는 찾을 수 없었다.

 

 

 

 

등산로 입구에는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를 표현한 조각이 있었다.

천연기념물 324호로 주왕산에 살고 있는 여름 철새라고 한다.

 

 

 

 

주왕산 산책로~ 주왕산의 명물인 제1폭포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새벽에 내린 비탓으로 길 위엔 작은 물웅덩이가 생겨나 있었다.

이 산책로 아래는 계곡이었는데 봄이면 진달래와 비슷한 수달래가 피어나

계곡을 온통 붉게 물들이며 장관을 이룬다고 했다.

 

 

 

그 수달래에도 이런 애틋한 전설이 깃들어 있었다.

 

 

 

 

 

길 옆에 피어있는 물봉선과 노란 야생화~

그 이쁜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보고~

 

 

 

 

갈림길에서 자하교를 만났다.

우측은 제1폭포로 곧장 오르는 길이었으며, 자하교를 건너면 주왕암과 주왕굴,

그리고 자연생태탐방로를 통해 제1폭포에 다다르는 길이었다.

 

 

 

 

자하교 위에서 기념 사진 한 장~!

 

 

 

 

 

주왕굴로 오르는 길에 만난 주왕암~

바위 협곡 사이에 자리 잡은 작은 암자였다.

 

 

 

 

높다란 바위로 울타리를 둘러친듯 했다.

 

 

 

 

 

주왕암 지붕 위로 우뚝 솟은 멋드러진 봉우리들~

 

 

 

 

 

계곡으로 이어진 나무 데크를 따라 조금 더 올라간 곳에서 주왕굴을 만났다.

토벌군에 쫒겨 이 굴로 숨어둔 주왕이 굴 옆으로 떨어지는 폭포수로 세수를 하다가

발각되어 마장군의 부하가 쏜 화살에 맞아 죽음을 맞이했다는 전설이 깃든 곳이다.

 

 

 

 

굴 안에는 치성을 드릴 수 있는 작은 불단이 마련되어 있었다.

 

 

 

 

 

주왕굴을 돌아나와 자연생태탐방로를 따라 가다가 만난 전망대~

주왕산의 봉우리들이 눈 앞에 펼쳐졌다.

 

 

 

 

연화봉과 그 주변 봉우리들~

우측 둥근 형태의 바위가 연화봉이다.

 

 

 

 

급수대라고 이름 붙여진 바위 봉우리~

 

 

 

 

 

이 바위 봉우리의 이름은 병풍바위였다.

이름에 어울리게 갈라진 바위 틈의 무늬들이 그림을 연상케 했다.

 

 

 

 

자연생태탐방로를 벗어나 산책로와 합류하는 지점에서 만난 시루봉~

생김새가 떡을 찌는 시루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 하나~ 학소교였다.

 

 

 

 

 

학소교 위에서 내려다 본 계곡의 풍경~

가을 단풍이 든다면 꿈처럼 아름다운 풍경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다시 바라본 시루봉~

떡시루보다는 장승을 닮은 듯한 느낌이다.

 

 

 

 

시루봉을 마주하고 우뚝 서있는 학소대~

청학과 백학 한 쌍이 둥지를 짓고 살았다고 해서 학소대로 불린다고 한다.

어느 날 백학이 그만 사냥꾼에게 잡힌 뒤, 짝을 잃은 청학이 날마다 슬피 울면서

바위 주변을 배회하다가 자취를 감추었다는 슬픈 전설이 있다고 한다.

 

 

 

학소교를 지나면서 만나는 나무 데크로 만들어진 산책로~

 

 

 

 

 

우뚝 늘어선 기암괴석 사이로 길이 이어지고 있었다.

그야말로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의 비경이었다.

 

 

 

 

산책로를 지나온 뒤 다시 되돌아본 풍경~

 

 

 

 

 

그리고 드디어 만난 제 1폭포~

 

 

 

 

 

규모가 크진 않았지만 비경을 지나 만나는 풍경이다보니 그 감회가

새삼 다르게 느껴지는 폭포였다.

 

 

 

 

폭포에서 되돌아 본 풍경~

주왕산에서만 볼 수 있는 절경이었다.

 

 

 

 

제1폭포 위의 계단처럼 이어진 작은 폭포~

 

 

 

 

 

바위에 작은 연못을 이루며 흘러 내리고 있었다.

 

 

 

 

 

길을 계속 따라가면 제2폭포와 제3폭포가 있었는데, 사정상 발길을 돌렸다.

다시금 하늘이 먹구름으로 가득 뒤덮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돌아나오는 길에 다시 바라본 학소대~

 

 

 

 

 

가을에 꼭 다시 와보고 싶은 곳이었다.

 

 

 

 

 

산책로에서 다시 만난 급수대의 모습~

급수대라는 이름이 붙은 연유는, 신라 37대 선덕왕이 후손이 없이 죽자 무열왕의

6대손인 김주원을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그가 경주에서 200리나 떨어진 먼 곳에

있었고 마침 홍수로 인해 경주로 돌아오는 시일이 늦어짐을 핑계로 대신들이

상대등(현 국무총리) 김경신을 왕으로 추대하였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왕위를 양보하게 된 김주원은 목숨을 보전키 위해 주왕산으로 피신해서

대궐을 짓고 살았는데 산 위에 샘이 없어 계곡의 물을 퍼올려 식수로 사용했는데

그 후로 이곳을 급수대라고 불렀다고 한다.

 

 

 

역시 다시 바라본 연화봉~

부처님이 앉아 계시는 연화대에서 그 이름을 따온 것은 아닐까?

 

주왕산이란 이름에 대해선 또 다른 설이 있다고 한다.

주왕에 대한 전설은 후대에 만들어진 허구이며, 주왕산에 얽힌 여러 전설들은

거의 김주원과 그의 후손들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다.

김주원의 아들이었던 김헌창은 아버지를 대신해 왕위를 되찾고자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뒤 자결했고 김주원의 손자인 김범문 역시 난을 일으켰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실제로 현재 주왕산에 남아있는 산성의 흔적과 군사들을 훈련시켰다는 연화굴등은

그런 연유로 주왕산에 숨어든 김주원과 그 후손들에 관한 전설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주왕굴에서 화살에 맞아 최후를 맞이한 사람도 주왕이 아니라

김주원의 후손중 누군가가 아니었을까? 그 가족사의 비극이 아니었을까?

분명 당시 이 주왕산은 산세가 험하고 오지에 있어 패잔병들이 숨어들기엔

최적의 장소일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주왕산을 되돌아 나오는 동안 비는 내리지 않았다.

비록 제1폭포까지만 다녀왔지만 잊을 수 없을 만큼의 절경을 보여준 주왕산이었다.

기회가 된다면 가을의 풍경을 꼭 보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다.

이제 그 유명하다는 주산지를 향해 차를 몰았다.

비가 조금만 더 참아주기를 바라면서~